페이지

(참고) 최저임금 관련 OECD 국제비교 통계 2건

임금 문제는 근로자나 사용자 뿐 아니라 모든 경제주체와 정치권 등 전국민에게 관심사다. 근로자는 임금이 가급적 빠르게 올라가는 것을 좋아하지만 그 대가로 일자리의 안정성이나 취업기회가 약화되는 것은 원치 않는다. 사용자는 임금이 수익성보다 빠르게 올라가는 것은 좋아하지 않지만 근로자들의 생산성은 빨리 올라가기를 원한다.

정치권에서는 이러니 저러니 해도 표를 의식하다 보니 듣기는 좋지만 현실성이 없거나 국가경제의 미래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주장도 하고 동일한 정당이 상충되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그 정도로 임금은 첨예한 주제다. 꾸준한 관심을 갖고 논의를 들여다 볼 수록 점점 더 어려운 주제라는 결론만 얻게 된다. 참고로 국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임금 통계 가운데 국제비교 자료 2건을 공유한다. 원자료는 OECD 통계 DB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전일제 근로자 평균 임금 대비 최저임금 수준 중간값 국제비교. 한국에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구분이 관심사지만 여러 선진국에서는 둘 사이의 구분보다는 전일제와 시간제 사이의 비교가 일반적인 것 같다. 이 자료에서 보듯 G7 선진국들은 대체로 최저임금의 전일제 근로자 평균임금 대비 비율은 낮은 편이다.)
(PPP 달러의 2014년 불변가격 기준 2015년 연간 실질 최저임금 수준을 비교한 자료. 비교 대상 28개국의 중간값은 14,000달러 정도였으며 일본, 슬로베니아, 한국이 중간값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 임금 및 최저임금 관련 최근 블로그 글도 참조 바람
▶ (보고서) 임금인상만으로 소득불평등 완화 가능한가?
▶ (보고서) 최저임금 인상만이 능사는 아닐 수도 있다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