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보고서) 한국 가계, 자산 회복에 공격적으로 나설 것으로 예상

(※ 한국투자증권 보고서 내용 중 일부)

1. 한국의 가계자산, 주식으로 이동 중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1분기 자금순환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보유한 금융자산은 3,444조원으로 2016년 4분기보다 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금은 1,506조원으로 전기대비 24조원(+1.6% QoQ) 증가했고 연금보험도 18조원(+1.7% QoQ) 늘어났다. 반면 채권의 경우 6조원(-3.7% QoQ) 감소했으나 주식은 19조원(+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올해 1분기 전체 가계금융자산에서 예금과 연금/보험이 차지하는 비중은 큰 변화가 없으나 주식의 경우 19.2%로 전기 18.9%보다 증가한 것은 눈에 뜨이는 변화다. 가계 금융자산에서 주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9년 3분기를 정점으로 하락하기 시작 2016년 4분기 18.9%까지 떨어진 후 올해 1분기 처음으로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채권 비중은 4.6%로 전기 4.85%보다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기 이후 한국의 가계 금융자산에서 주식 비중은 지속적으로 하락한 대신 연금보험의 경우 2008년말 24.3%에서 현재 31.9%, 채권의 경우 같은 기간 3.7%에서 4.6%로 상승했다. 따라서 올해 1분기 주식비중이 증가하고 채권비중이 감소한 것은 의미 있는 변화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최근 들어 가계자산에서 주식비중이 증가한 것은 작년 하반기보다 양호한 국내경기 여건을 들 수 있다. 올해 상반기 수출이 주도하는 경기회복세가 나타나면서 경제 주체들의 심리 역시 회복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요인이다. 가계 소비자 심리 역시 올해 1분기 평균 94.8에서 2분기 평균 106.7로 큰 폭의 상승세를 나타냈다. 또한 미국이 상반기 2차례 금리를 인상하면서 채권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떨어진 것도 하나의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경기회복에 따른 위험자산 선호 현상이 회복되고 있다는 의미다.


2. 가계 위험자산 선호 현상 재개

가계자산의 회복 추세가 위험자산 선호 현상의 재개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은 주식시장의 리스크 프리미엄에서도 확인해 볼 수 있다. 아래 [그림 3]은 주식과 채권의 상대비중과 주식시장의 리스크 프리미엄을 비교해 본 그림이다. 이것에서 볼 수 있듯이 최근 국내 증시 리스크 프리미엄이 하락하면서 가계 자산의 주식비중도 채권대비 증가하고 있다.

1분기 평균 리스크 프리미엄 6.0%에서 2분기 평균 5.9%로 리스크 프리미엄의 하향추세는 지속되고 있다. 향후에도 주식시장 리스크 프리미엄은 추가 하락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계의 위험자산 선호는 이어질 것으로 보여진다(중략). 이에 따라 가계 주식자산 보유 비중은 채권 대비 더욱 확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3. 향후 가계는 자산 회복에 공격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임

현재 한국의 가계자산은 금융위기 이후 연금과 보험이 주도하던 회복에서 부동산과 주식이 주도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이제 초기 단계에 접어들었기 때문에 한국 가계 자산 회복의 형태는 고령화에 대비하는 보수적 형태에서 보다 공격적이고 적극적인 자산 증식을 수반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래 [그림 4]에서 보듯이 현재 2016년 기준 국내 실물자산과 금융자산을 모두 합친 국민순자산(National wealth)는 국내총생산 대비 8.0배를 기록, 2015년 7.9배보다 상승했다. 그러나 2009년 이후 국민순자산/GDP 비율이 매우 느리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00년대 초중반 동일한 비율이 5.7배에서 7.6배까지 상승했던 것에 비하면 현재 한국의 부는 매우 더디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민대차대조표 통계는 연간으로 발행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분기별 대용지표로 우리는 가계실물자산(=아파트 시가총액)과 금융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가계순자산을 구한 후 이를 가계의 가처분 소득으로 나눈 비율을 살펴보았다. 아래 [그림 5]에서 보듯이 현재 가계 순자산/가처분 소득 비율의 경우 2.5배로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한국의 가계자산의 증가속도는 지난 몇 년 동안 매우 정체되어 있던 것이 사실이다. 특히 글로벌 비교를 통해 보면 더욱 명확하게 나타난다. 현재 미국의 경우 가계의 순자산과 가처분 소득 비율이 금융위기 이전 최고치를 경신했고 주요국들의 부동산 가격 상승은 실질 기준으로 금융위기 이전 수준 혹은 그 이상 상회하고 있는 것을 보면 한국 가계자산 회복 속도는 현재보다 더욱 빨라질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