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중국 부동산 시장 채무불이행 사태 최근 상황 업데이트

※ 중국 부동산 개발회사 등의 부실화 관련 소식이 이어지고 있다. 쉽게 끝날 일이 아닌 듯한 데다가 중국의 경제 및 부동산 관련 제도가 특이한 부분이 많아서 국내에서도 우려하는 목소리와 괜찮으리라는 목소리가 뒤섞여 있다. 이와 관련해 국제금융공사가 비구이위안 역외채무 상환 실패를 계기로 최근 상황을 정리해 보고서로 발간했다. 여기서는 주요 부분만 소개한다.

(사진 출처: www.theguardian.com)

[이슈] 최근 비구이위안(Country Garden, 벽계원)이 역외채무 상환에 실패한 데다 향후 채권 이자 지급 등이 어려울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채무불이행(default) 우려가 확대 (※ 비구이위안은 자산규모 1.62조위안(금년 6월말 기준)으로 중국 3대 부동산 개발업체 중 하나)
  • (역외채무 연체) 비구이위안은 9월 역외채권의 이자 5,540만달러를 지급하지 못했으며 10.9일에도 4.7억홍콩달러의 역외채무 상환에 실패
  • (비구이위안 입장) 기업실적 악화 등으로 다른 역외채무들도 상환하지 못할 수 있다고 발표. 다만, 역외채권자 보호 및 기존의 건설 프로젝트 완공 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언급
[전망] 비구이위안 뿐만 아니라 헝다, 위안양 등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의 디폴트 우려가 당분간 지속될 전망
  • (비구이위안 디폴트 가능성) 회사가 공식적으로 역외채무 상환 불확실성을 언급한 데다, 중국 당국의 즉각적인 지원을 기대하기 어려운 가운데 투자자들의 심리도 위축

  • (부동산 개발업체 불안 지속) 한편, △헝다(Evergrande) △카이사(Kaisa) △위안양(Sino Ocean) 등의 불확실성과 추가 신용등급 강등 우려 등이 장기화되는 모습
  • (비구이위안의 대응여력 상당) 다만, 유예기간 내 역외채권 상환 기대감도 상존하는 데다 디폴트가 발생하더라도 자산매각 등을 통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평가]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의 디폴트 우려가 금융안정성을 크게 위협하는 수준으로 확대되지는 않을 것으로 평가. 다만, 부동산시장의 불확실성이 증대되면서 경기 회복이 지연될 수 있음에도 유의할 필요
  • (금융시장 전이 가능성 제한적) 중국 정부의 금융통제 여력이 상당한 데다, 최근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역외채무 불확실성이 은행 건전성 및 증권시장 등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 않을 전망
– 중국 개발업체 부실이 본격적인 역내채권 디폴트로 등으로 이어질 경우, 중국 정부가 유동성 공급 확대를 비롯한 자금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
– 역내채권의 경우, 금융투자상품에 편입된 경우가 많아 개인투자자들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당국의 만기연장 독려 등이 이어질 전망 
– 최근 중국 정부는 부동산 계약금 완화, 모기지대출 금리 인하 등의 부양책을 시행했으며 필요시 추가적인 부양조치를 시행할 것으로 기대
–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부채 중 95%가 역내에서 조달되고 있는 만큼, 일부 역외 디폴트가 발생하더라도 중국 금융시장에 미치는 파급력은 크지 않을 소지 
– 비구이위안이 10.9일 역외채무 상환에 실패하면서 상하이 부동산지수는 이틀간 2.1% 하락했으나 그 후 1.1% 반등해 국내 투자자들의 우려가 제한적임을 시사
– 또한 주요 시중은행들은 개발업체에 대한 대출 비중을 최근 수년간 7%에서 5% 수준까지 낮춰 관련 부실의 영향이 축소된 상황 
– 개인의 부동산 구매에서도 선수금(계약금) 비중이 최대 80%에 달하고 모기지대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아 부동산시장 위축이 장기화되더라도 금융권 부실 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평가
  • (경기회복 둔화 우려) 다만, 부동산 개발업체의 디폴트가 현실화될 경우 장기화된 중국 부동산시장의 부진이 더욱 심화되면서 소비진작 및 경기회복이 지연될 소지
– 8월 중국 주택가격 상승률이 -0.48%(mom), 거래량이 -25.6%(yoy)로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부동산시장 부진이 장기화 
– 특히 중국 개인 자산의 60%가 부동산에 집중된 상황에서 부동산 개발업체의 불확실성 심화는 소비둔화 및 경기회복 지연으로 이어질 가능성 
– 중국은 보유세가 없어 전체 주택보유자 중 다주택자의 비중이 40%로 높으며, 주택 거래가 위축될 경우 이들의 소비여력도 축소되는 경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