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小考) 8월 물가상승률 급등, 어떻게 봐야 할까

오늘 발표된 통계청의 2023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 자료는 비교적 최근 모습에서 벗어나는 수치들이 많이 담겨 과연 소비자물가 및 인플레이션 흐름에 대한 생각을 바꿔야 하는지 궁금증을 자아낸다. 전년동월 대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전달보다 급등했는데, 정부에서는 일시적인 기상 상황 등에 따른 현상이며 9월까지 그 효과가 이어지다가 10월부터 다시 안정세를 보일 것이기에 크게 놀랄 일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우선 통계청 발표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8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1.0%, 전년동월대비 3.4% 각각 상승
  • 전월비는 농축수산물, 공업제품, 서비스 및 전기·가스·수도가모두상승하여 전체 1.0% 상승
  • 전년동월비는 서비스, 공업제품, 전기·가스·수도 및 농축수산물이모두상승하여 전체 3.4% 상승
□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3.9% 각각상승

□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3.3% 각각상승

□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1.5%, 전년동월대비 3.9% 각각 상승 
  • 전년동월대비 식품은 4.7%, 식품이외는 3.3% 각각 상승
□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9.9%, 전년동월대비 5.6% 각각 상승 
  • 전년동월대비 신선채소 1.1% 하락, 신선어개 6.0%, 신선과실 13.2% 각각상승

이에 대한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세종=연합인포맥스) 최욱 기자 =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5일 "국제 유가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지만 전반적인 물가 둔화 흐름은 계속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일시적 요인들이 완화되면서 10월 이후부터는 물가가 다시 안정화될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8월 소비자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3.4% 오르면서 전월(2.3%)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다만,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와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상승률은 각각 3.3%와 3.9%로 전월과 같았다. 
김 차관은 "7월 중순부터 큰 폭으로 상승한 국제유가가 시차를 두고 국내에 반영됐다"며 "호우·폭염에 따른 농산물 가격 상승 등 일시적 요인이 더해지면서 8월 물가가 상승한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국제유가는 8월 중순 이후로는 80달러대 중후반에서 등락 중"이라며 "이에 따라 국내 석유류 가격도 8월 말부터는 상승세가 둔화된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농산물 가격도 기상 여건이 개선되면서 점차 안정화되고 있다"며 "그동안 물가 상승의 주요 요인이었던 서비스 물가 상승률 둔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달과 같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차관은 "정부는 각별한 경각심을 갖고 물가 안정을 위해 총력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출처 : 연합인포맥스(https://news.einfomax.co.kr)
필자가 각종 물가 압력 측정 지표의 최근 흐름을 정리한 그림은 다음과 같다. 흐름 파악을 위해 모든 수치는 3개월 이동평균치를 적용했으며, 국내공급물가는 7월 수치까지 발표됐다.


정부 발표대로 코로나 팬데믹 충격에 이은 우크라이나 전쟁 충격에서 벗어나는 흐름은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근원 인플레이션율이 하향 추세를 유지하는 것은 인상적이다. 다만, 2021년 이전 추세를 회복하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는 것을 그림에서 알 수 있다.


공급 측면의 미래 인플레이션 압력을 보여주는 국내공급 물가지수 중 생산재 지수와 지수의 전년동월 대비 상승률의 3개월 이동평균 추이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앞에 설명했듯이 최근 수치는 7월이다. 그림에서 보듯 원지수와 상승률 모두 공급 충격에서 벗어나는 모습이 확연하다. 다만, 지수 수준 자체는 더 하락할 여지가 있어서 지켜볼 필요가 있다.

결국 전체적인 인플레이션 안정화 흐름이 바뀌었다고 단언하기는 이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앞으로 변수는 최근 다시 상승세를 보이는 국제유가와 환율 추이, 그리고 부동산 시장 일부 회복 조짐에 따른 수요측 물가 압력 반등 여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물가 하향 조정 흐름이 유지되는 한 통화정책의 급작스러운 변동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