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한은 블로그) 성장률 떨어지는데 기업들이 높은 고용을 유지하는 미스터리

지난해 경제 성장률은 위기시를 제외하고는 거의 한국전쟁 이후 최악이었다. 특히, 제조업은 물론이고 사업장 부근 자영업 경기까지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수출이 급감한 가운데 건설업도 부진을 면치 못하는 등 내수 경기도 좋지 않았다. 이에 야당을 중심으로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통한 경기 부양을 요구했으나, 정부는 재정 건전화를 밀어붙이며 이를 거부했다.

그런데 실업률은 올라가기는커녕 역대 최저 수준을 유지했다. 2022년 들어 3%를 밑돌기 시작한 실업률은 2023년 2/4분기와 3/4분기에는 2.6%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개인적으로도 이 부분이 큰 미스터리로 여겨졌다. 지난 30여년 동안 성장률과 실업률 간 역의 관계를 나타내는 이른바 오쿤의 법칙을 고려해 보면 과거와는 달리 지금은 성장률 대비 실업률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 조사국에서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블로그에 게시했다. 성장이 둔화하는데 기업들이 높은 고용 수준을 유지하는 비결에 관한 한 가지 답을 제시하는 내용이다. 블로그 주소는 맨 아래 공유한다.

(채용박람회 현장 모습. 사진 출처: 뉴스1)

최근 실업률은 오쿤의 법칙이 제시하는 실업률보다 1.2%p 낮은 수준

팬데믹 직전에 추정된 오쿤의 계수와 팬데믹 이후 실제 GDP 성장률을 이용하여 오쿤의 법칙을 토대로 추정한 실업률은 실제 실업률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그림3> 참조). 먼저, 팬데믹 초기(2020년) 성장이 감소하는 과정에서 실제 실업률은 소폭 상승에 그치며 오쿤의 법칙이 제시하는 수준과 큰 괴리를 보였다. 

이는 정부의 고용유지 지원 정책, 일시 휴직 증가 등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성장세가 둔화된 2022년 이후에는 오쿤의 법칙에 기반한 실업률보다 낮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 그 격차는 지난해 1/4~3/4분기 중 1.2%p에 달하였다.

(그림 3. 오쿤의 법칙에 기반한 실업률)

이는 기업들이 생산량에 비해 근로자를 많이 고용하고 있음을 의미

기업들이 생산량 대비 많은 근로자를 비축하고 있는 이유로 크게 두 가지를 생각해볼 수 있다. 첫째, 기업들이 인력난에 대한 우려로 기존 근로자들의 해고를 줄이면서 노동력을 비축할 가능성이 있다. 둘째, 팬데믹을 거치며 노동생산성이 낮아져 더 많은 근로자가 필요할 수도 있다. 이후에는 기업의 노동 비축으로 논의를 좁혀, 그 가능성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사실 기업의 노동 비축 규모를 명확히 측정할 수 있는 지표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신규채용 어려움에 따른 인력난, 신규 실업 감소, 기존 근로자의 근로시간 조정(감소)이 동시에 나타날 경우, 이는 기업의 노동 비축 현상을 설명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먼저 타이트한 노동시장으로 인해 기업들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신규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그림 4> 참조). 신규채용의 어려움으로 인력난을 겪는 기업들은 기존인력을 최대한 보유하려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신규 실업이 크게 줄어들었다. 

실제로 경기가 둔화된 2023년에도 제조업을 중심으로 신규 실업이 계속 줄어들고 있다(<그림 5> 참조). 한편 제조업의 초과근로시간은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그림 6> 참조). 이는 기업들이 고용조정 대신 근로시간을 조정하면서 경기 변화에 대응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실업률 변동 요인분해 결과 해고 감소가 크게 기여

마지막으로 실업률 감소 요인을 실업으로의 유입(inflow, 취업→실업) 감소와 실업에서의 유출(outflow, 실업→취업) 증가로 나누어 분해(Shimer decomposition)해 보아도, 실업으로의 유입 감소에 따른 기여도가 훨씬 크게 나타났다. <그림 7>을 보면 취업→실업 전환율(실업으로의 유입)이 하락하고 실업→취업 전환율(실업에서의 유출)이 상승하고 있는데, 이는 유입과 유출 모두 실업률 감소에 기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요인분해 결과 최근 실업률이 하락하는 동안 실업으로의 유입 감소의 기여도(92%)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거 평균 수준(71%)에 비해서도 높았다(<표 1> 참조). 이는 기업의 노동 비축에 따른 해고 감소가 실업률 하락의 주요 요인 중 하나임을 시사한다.


팬데믹 회복 과정에서 실업률이 큰 폭 하락한 것은 기본적으로 대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노동수요가 늘어난 데 기인하나, 인력난을 우려한 기업의 노동 비축 행태도 낮은 실업률이 유지되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올해 성장률이 지난해보다 높아지면서 성장률과 실업률 간 괴리는 줄어들 전망이다.

▶ 한국은행 블로그 글 전체 보기: 기업의 노동 비축과 낮은 실업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