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참고) 중국 수소산업 현황과 전망 총정리 보고서

중국의 시진핑 주석은 제75차 UN회의에서 중국이 2030년까지탄소배출 정점,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했으며 중앙정부는 중장기 발전 정책을 통해 수소산업 발전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사진 출처: www.energypartnership.cn)

이에 따라 중앙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수소 연간 생산량 10~20만톤으로 확대, CO2 배출 100~200만톤 감축, 수소차 보유량 5만대 달성 등을 목표로 하고 5개 도시군 41개 도시를 수소차 시범운영도시로 지정했다. 한편, 31개 성/시는 각 지역 상황에 맞게 수소산업 육성정책을 제정해 공격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중국 친환경산업 발전현황과 전망(수소산업 중심으로)』라는 보고서를 발간해 중국 수소 산업 체인을 구성하는 ①제조, ②저장 및 운송, ③충전, ④에너지전환(전지시스템), ⑤활용 등 5단계에 걸친 최근 정보를 총정리해 제시했다.


여기서는 이 보고서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보고서 전체는 맨 아래 링크를 참조하기 바란다.


⬛ 제조
  • (현황) ’22년 기준 중국은 세계최대 수소 생산국으로 연생산량은 약 4,004만 톤에 달했고, '60년 수소 소요량은 1.3억 톤까지 증가 예상
  • (과제) 생산단가 인하 및 생산과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절감 필요
  • (전망) 향후 청정수소를 생산하는 비중이 보다 증가하고, 교통운수분야에 집중되어 있는 수요가 공업 분야로도 이전될 것으로 전망
- 화석연료의 비중을 낮추고(67%→20%), 기술력 발전 및 생산원가 인하로 재생가능에너지, 바이오·기타 에너지 비중이 크게 증가 전망(3%→80%) 
- 특히 ’22년 수소제조 투자 프로젝트 중, 그린수소 제조 위한 수전해 활용 프로젝트가 60% 차지, 관련 설비 출하량이 전년대비 106%증가 
- 아울러 '60년에는 수소의 최대 수요처가 공업 분야로 60%를 차지하고, 교통운수 분야는 31%, 전력 및 건축이 각각 5%, 4% 차지 예상
⬛ 저장 및 운송
  • (현황) 고압기체 형태 트레일러 운송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 (과제) 현재 주요산지가 서북지역이나, 주요 소비지역은 동부 연해지역으로, 장거리 운송 필요에 따른 기술력 및 원가 문제 존재
  • (전망) 보다 저렴한 방식으로 대용량의 수소를 장거리로 운송하기 위해 향후 파이프 인프라 대규모 확충 예정
- 현재 설치된 파이프는 주로 환발해만, 장강삼각주 등 지역의 산업클러스터 내 사용 위주로 국한되어 있으나, 전국으로 인프라 확충 예상
⬛ 충전
  • (현황) ’22년까지 건설된 충전소는 총 274개로 점진적 증가세
  • (과제) 설비 국산화 수준이 낮고, 높은 충전소 건설비용으로 인해 추가 충전소 설치 속도가 다소 느린 편
  • (전망) 적극적인 보조금 지원정책으로 수소충전소 확대건설 추진하고, 행정처리 가속화 및 비용절감을 위해 일반주유+수소충전 등 복합충전소 설립하는 방안 적극 추진 예상
- 단일 수소충전소 설립비용은 2~3천만 위안이나, 일반주유소·수소충전 등 복합충전소 설립비용은 1,300만 위안으로 약 1/2 수준 
- 또한 신규 수소충전소 설립시 토지사용 승인을 위한 행정처리가 길어지는 관계로, 복합충전소 설립으로 행정처리 시간 단축 추진 예상
⬛ 연료전지, 연료전지시스템
  • (연료전지) 연료전지는 전해질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되며, 현재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가 기술수준이 높아 차량용으로 사용중
  • (시스템) 연료전지시스템은 연료전지스택(電堆), 공기공급시스템, 수소순환시스템, 열관리시스템 등 다수의 시스템으로 구성
  • (전망) 연료전지 효율 및 단가인하를 위한 R&D, 외국기업과의 협력 추진 및 확대 예상
- 일본과는 연료전지 및 시스템 기술협력 및 협력시범구를 운영하고있고, 유럽기업과는 기술연구 협력 이미 추진 중 
- 특히 광둥성은 ’23.6월 현대수소연료전지시스템 광저우 공장 준공을 계기로 한국기업과의 협력 확대 희망, 비즈니스 기회 창출 기대
⬛ 활용
  • (자동차) 상용차 우선 발전 원칙을 내세우고 있으며, 14.5규획은 ’25년까지 수소차 보유량 5만 대를 목표로 설정
  • (공업) 코크스를 대체하여 수소로 철강을 제련하는 수소환원제철, 청정수소 생산 등 그린화공 추진을 통한 탄소배출 감축 목표 제시
  • (전망) 수소충전소 신규건설 가속화와 더불어 수소차 보급확대 및 산업체인 구축 위한 정책지원 추진 예상
- (베이징) ’23년까지 충전소 74개로 증가 및 수소차 보유랑 1만 대 돌파, 탄소배출 200만 톤 감축, 수소 산업규모 1천 억 위안 달성 등 제시- (상하이) ’25년까지 충전소를 70개로 증가 및 수소차 보유량 1만 대돌파로 수소 산업규모 1천 억 위안 달성 등 목표 제시 
- (광둥성) ’25년까지 충전소 200개까지 증가 및 수소차 보유랑 1만 대돌파, 수소공급 연Capa 10만 톤 등 발전 목표 제시 
- (공업분야) '60년에는 공업 분야가 수소 수요의 60% 차지 전망
※ 보고서에는 이 밖에도 수소 관련 주요제품 수출입 동향, 표준과 인증, 향후 전망, 글로벌·중국 수소산업 기업목록, 중국 수소산업 분야별 주요기업, 한중 합작법인 현황, 주요 산업단지 목록, 주요 융자건 목록, 주요 전시회 목록 등 중국 수소산업과 관련한 거의 모든 정보가 담겨 있다. 보고서 전체(47페이지)는 여기서 구할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