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미쓰비시종합연구소(三菱総合研究所)가 작성해 보고한 내용을 일본 경제산업성이 공개한 베트남 자동차시장 및 산업 전망 보고서 주요 내용이다. 아래 내용은 한국의 산업연구원이 발췌ㆍ번역해 소개한 것이며 일본어 보고서 전문은 본문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구할 수 있다.)
『베트남의 자동차 시장 성장 가능성 분석』
□ 베트남 자동차 산업의 현황과 과제
◯ 베트남 자동차 산업의 현황
- 베트남 자동차의 국내 생산 차량 판매 대수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약 11~12 만 대로 보합세의 추이. 2012년 국내 생산 차량 판매 대수는 세제 개정 등의 영향으로 약 8만 대로 감소하였으나 대체로 11~12만 대가 현재 베트남의 표준 자동차 생산 규모라고 할 수 있음.
- 2011년 국내 생산 자동차 판매 대수 11.1만대 중 세단은 4.1만 대로 36.8%, SUV/MPV는 2.3만 대로 20.7%를 차지. 세단 중 가장 판매량이 많은 것은, 일본에서는 경차에 해당하는 Kia Morning. 또한 SUV/MPV 중 가장 판매량이 많은 것은 도요타의 INNOVA.
- 베트남에는 약 50개사의 자동차 생산 업체가 있는데, 이 중 베트남 자동차 생산협회(VAMA) 멤버인 19개사가 주요 플레이어.
- 현재 일본 기업은 도요타, 혼다, 스즈키, 미쓰비시, 이스즈, 히노의 6개사가 베트남에서 자동차 생산을 하고 있으며, 닛산이 현지 기업에 자동차 생산 위탁을 실시. 외국계 기업으로는 GM, 포드, 메르세데스 벤츠 등이 진출. 또한 현지 기획 사업에서는 Thuong Hai (Thaco사)가 최대의 기업이며, 기존의 독자 생산중인 상용차 외에도 기아 OEM에 의해 상기의 Kia Morning, 마쓰다 등을 생산.
- 베트남 자동차 생산 규모는 태국의 245만 대, 인도네시아 106만 대에 비하면 1자리 수 이상 작음. 여기에 VAMA 회원사중 19개사가 참가중. 원래 자동차 생산, 특히 승용차의 생산은 초기 투자가 큰 산업이며, 생산 대수 증가의 정체는 1대당 생산 비용이 낮아지지 않고 자동차 기업 생산의 동기도 크게 억제하는 영향.
- 이는 자동차 부품 산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며, 자동차 생산 기업과 같은 중핵기업이 입지해 있어도 그 생산량이 적으면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는 저비용 생산이 실현되지 않고 투자 동기도 상실. 실제로 베트남에서는 부품의 다수를 일본과 이웃 나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승용차의 현장 조정 비율은 10% 전후에 머물고 있는 것이 실태.
- 2018년에는 ASEAN 통합의 결과로써 ASEAN 역내 자동차의 관세 철폐가 예정되어있음. 이 경우 인근 ASEAN 국가에서 더욱 낮은 비용으로 생산하는 자동차 (특히 승용차)가 대량으로 유입되는 것도 예상. 그 결과 베트남에서 자동차 생산을 할 동기를 상실할 우려.
- 한편 베트남은 1인당 GDP가 아직 1,500달러 정도의 수준으로, 내구재 시장이 확대하고 자동차의 대중화가 시작되는 것은 2020년경이 될 것으로 예상. 원래 베트남은 인구 규모가 크고, 철도 등이 미개발인 점 등을 고려하면, 잠재적으로 큰 자동차 시장이 출현될 가능성. 베트남의 향후 자동차 니즈에 부응하고, 베트남의 경제 발전으로 이어 가기 위해 현재의 자동차 산업 육성을 계획적인 실시와 더불어, 특히 수입차에 대한 관세 제로화가 시작되는 2018년까지 일정 계획의 실행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