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GDP 및 내수 부문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 4개 분기 이동평균 동향이다. 내수에는 소비와 투자가 해당하며 정부 소비도 포함한다.
↑ 국제무역기구(WTO)가 집계한 분기별 상품수출 통계를 이용해 계산한 한국의 세계 수출 비중(점유율) 분기별 변동 추이다. 한국의 세계 시장 점유율이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 국제통화기금(IMF)이 제시한 한국의 잠재성장률 대비 아웃풋 갭률과 한국의 연평균 인플레이션율, 그리고 한국의 연말 기준 한국은행 기준금리 변동 추이를 나타낸 그림이다. 최근 2년간의 기준금리 인상은 한국은행도 거시경제 여건보다는 주택가격 억제 목적이었다는 점을 강조해 왔다.
↑ 한국은행 국민소득 통계 가운데 부문별 국민처분가능소득 변동 상황을 GDP 디플레이터를 반영해 실질 기준으로 비교해 본 그림이다. 정부의 가처분소득 계산 공식을 모르겠으나 정부 부문이 가장 좋은 성과를 내고 있으며 기업 부문의 가처분소득은 지난해 폭락했다.
↑ 전국 1인가구 포함 가구당 평균 실질 소득 및 가처분소득 변화 추이다. 지난해 비소비지출 급증과 그로 인한 가처분소득 급감이 눈에 띈다.
↑ 통계청이 집계해 발표하는 경기선행지수와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월간 변동 현황이다.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뚜렷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 대외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 가운데 한국의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 및 순대외금융자산 규모 변화 추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