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와 금융안정 간의 밀당이 불가피한 한국》
7월 GDP 성장률 전망 하향에 이어 10월에도 추가 하향이 불가피해 보이는 한국은행. 부진한 고용 동향까지 가세하며 확연해진 경기 모멘텀 둔화
물가 역시 계속해서 중기 목표치를 하회함에 따라 경기 펀더멘털 여건만 놓고 보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은 당분간 동결 요인이 우세. 반면 지속적인 가계부채 증가로 금융안정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상황은 기준금리 인상 요인
결국 어느 한쪽에 상대적인 우위를 두고 정책 행보를 취사선택한다고 할 때, 현재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인상에 무게. 수정 경제전망이 나오는 10월보다 11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상이 유력하다는 견해(연말 한국 기준금리 1.75% 예상)
《한미 금리차는 잠재적 불안 요인, 당장 문제는 아니지만 불편하다》
금융안정과 함께 기준금리 인상을 예상하는 논거는 한미간 금리 격차 확대. 내외 금리 격차는 당장 현재화된 위험은 아니지만 항상 잠재적인 불안 요인일 수 있음
다만 금융안정, 내외금리 격차 등을 감안해 기준금리 인상이 이뤄지더라도 경기 여건이 뒷받침되지 않는 기준금리 인상은 단발성 행보에 그칠 수 있음. 올해 1차례 기준금리 인상이 이뤄지면 향후 추가적인 금리 인상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전망. 기준금리 인상을 막연히 채권 매수에 부정적인 재료 만으로는 평가할 수 없는 이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