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들은 특정 사안에 대한 정보의 양이 불충분하거나 습득한 정보의 객관성을 입증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와는 달리 통계 당국은 정보의 양이 어느 개인보다 많고 생산하는 정보의 객관성도 어느 개인보다 높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통계를 어떻게 해석하고 활용하느냐는 경제전문가의 몫이 되며 그것을 다시 개인들에게 전달하는 것은 언론이다.
시기에 따라 변동이 심하거나 개인에 따라 습득한 정보의 차이가 클 경우 객관적인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정확한 상황 파악에 도움을 줘야 하는 것이 언론의 역할이다. 그런데 지난 달 한 기사는 아무리 얌전하게 말해도 충격적이었다. 웬만한 정도가 아니어서 통계를 찾아보며 검증해 보았다. 일단 조금 길지만 전문을 인용한다.
'누가 식탁 물가 좀 잡아주세요!'
시장에 나가본 사람이라면 모두 공감할 얘기다. 올해 초 채소값이 폭등하자 당국은 이맘때 쯤이면 장바구니 물가가 안정될거라고 자신있게 예측했었다. 노지재배 채소들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가격이 안정될 거라는 얘기였다. 실제로 재래시장과 대형마트에는 햇양파와 마늘, 감자, 장아찌용 오이 등 채소들이 본격적으로 출하되고 있다. 하지만 장을 보러나온 주부들의 손길은 연신 들었다 놨다는 거듭한다. 만만치 않은 가격탓이다. 한술 더떠 이제는 장마철을 앞두고 채소값이 불안정하다는 예측까지 나오고 있어 한숨만 절로 나온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물가 상승률 상위 10개 품목 가운데 8개를 채소류가 차지했다. 양파가 1년 전보다 무려 111.3%나 뛰어 1위를 차지했고 배추(62.2%), 파(61.3%), 마늘(45.7%), 양상추(31.3%), 무(29.1%)가 뒤를 이었다. 피망(19.8%), 미나리(17.8%) 가격도 많이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