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코로나19 확산으로 리라화 약세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에르도안 대통령이 미 연준에게 통화스왑 라인을 요청하면서 터키 외환보유액 고갈 이슈가 부상
- 에르도안 대통령은 Fed가 통화스왑 라인을 G20 모든 국가들에게로 확대하면, 글로벌 경제에 대한 신뢰가 상승할 것이라고 발언
– Bloomberg, Financial Times는 터키의 만성적 환율불안 대응이 장기화되면서 최근 가용 외환보유액이 고갈되었을 가능성을 제기 [현황] 코로나19 확산 이후의 터키 리라화 약세폭은 여타 신흥국 통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 보일 수 있으나 환율의 절대 레벨은 과거 위기수준에 근접. 또한, 터키는 미국 주도의 글로벌 달러 유동성 우려 대응책의 영향권에서도 벗어나 있는 상황
- 터키 리라화의 대미달러 환율은 코로나19 이후 9.6% 절하(-11.6% YTD)되면서 2018년 미국 경제제재, 대내 정치불안 등으로 환율불안이 극심하였던 수준에 근접(4/3일 6.7309리라)
– 브라질 헤알화(-18.5%), 멕시코 페소화(-25.8%), 러시아 루블화(-16.9%) 등이 20% 내외의 약세를 보이면서 리라화의 약세폭이 상대적으로 덜 부각되고 있으나, 브라질과 멕시코는 Fed와의 임시 통화스왑 계약 체결, 러시아는 풍부한 외환 보유액 등 향후 달러유동성 부족에 대한 대응수단이 있다는 점이 터키와 차별화
- 만성적 환율불안 속 외환시장 개입이 지속된 가운데, 연준과의 통화스왑 라인 부재, 저조한 FIMA Repo Facility의 실효성 등 대외 불안에 대한 대응 수단이 부족
– Fed가 3/31일 설치한 FIMA 레포 기구를 통해 달러유동성을 조달하기 위해서는 미 국채를 담보로 제공해야 하나, 터키의 미 국채 보유규모는 $27.9억에 불과
– FIMA 레포 기구는 중국(미 국채 보유규모 $1.1조), 브라질($2,833.0억), 홍콩($2,296.2억), 대만($1,992.3억) 등 외환보유액이 풍부한 국가들의 비상시 이용수단(CF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