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블로그 검색◀

IMF가 제시한 세계경제 다운사이드 시나리오

국제통화기금(IMF)이 10월8일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을 올해 2.9%, 내년 3.6%로 각각 제시해 지난 7월 전망시보다 각각 0.3%포인트와 0.2%포인트 낮췄다. 회복이 당시 전망했던 것보다 부진하지만 그런 대로 양호한 편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는 수치다.

그러나 이 보고서 안에는 다운사이드 시나리오도 함께 포함돼 있다. 그 부분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즉 세계 경제가 전세계 곳곳에서 실망스런 모습을 보이는 상황을 상정하는 것으로 이는 다음 상황일 가능성이 있다:

- 유로존 내 정책이 금융 파편화 해결에 실패하고 투자자들의 신뢰를 개선하는 데 실패함에 따라 투자 및 성장 약세 지속 
- 신흥국 및 개발도상국 경제성장이 더욱 둔화되고 중국의 내수소비 위주 성장이 예상보다 여의치 않게 되어 중기적 시계에서 성장이 더욱 둔화; 이 경우 세계 무역 및 상품 가격 하락 촉발 가능
- 일본의 정책 집행 불충분, 특히 미흡한 구조조정, 기대인플레이션율의 지속적 상승 실패 등에 따른 GDP대비 부채비율 억제와 일본 국채에 대한 리스크 프리미엄 급증 예방을 위해 재정 긴축을 강화하는 상황
- 내년 미국 금융상황이 예상보다 더욱 위축되는 상황. 민간투자 회복 불발 및 그에 따른 잠재정상률 부진
- 위에 제시된 상황들로 인해 국제금융시장 동요 재발


이런 상황이 발생하면 다음 시나리오가 예상됨:

- 유로존: 성장률이 0.5% 위로 복귀하는 데 몇년이 더 소요되고 유로존 경상수지 흑자 축소 가능
- 일본: 성장률 0.5% 밑으로 반락, 경상수지 흑자 다시 GDP 대비 2% 이상으로 확대, 인플레이션 2% 목표 미달, 재정 상황 악화
- 중국: 성장률 중기적으로 6% 하회, 2018년까지 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현재 2.5% 수준에서 5% 가까이로 확대
- 아시아 신흥국 전체: 2014년에 성장률 5.25% 미만으로 1%포인트 이상 하락한 뒤 횡보
- 중남미: 성장률 2013년 이후 소폭 하락한 뒤 다시 소폭 회복, 경상수지 적자 개선 불발
- 미국: 단기적으로는 금리 상승으로 경기 압박하겠으나 중기적으로 저성장 문제 해결 위해 당국이 정책금리를 장기간 유지하게 되면 성장률은 중기적으로 2.5% 수준 달성 가능할 듯

(아래는 원문임)
A likely scenario for the global economy is one of continued, plausible disappointments everywhere.
These disappointments could include the following:
• Investment and growth stay weak in the euro area, as policies fail to resolve financial fragmentation and fail to inspire confidence among investors.
• Growth in emerging market and developing economies softens further, and growth in China is lower in the medium term as the shift toward consumption-driven growth proves more complicated than expected. This has repercussions via trade and lower commodity prices.
• Policy implementation in Japan is incomplete. In particular, the scenario incorporates shortfalls in structural reforms, a failure of inflation expectations to durably move up to 2 percent, and consequently, more fiscal tightening to contain the debt-GDP ratio and prevent sharp increases in the risk premium on Japanese government bonds.
• U.S. financial conditions tighten more than assumed in the WEO forecast over the coming year. Also, private investment does not recover as forecast, and, consequently potential growth turns out lower than expected. Tighter financial conditions than assumed in the WEO projections are already partly priced into markets, and the scenario assumes that market rates increase further when the Federal Reserve tapers its asset purchases. Such overtightened financial conditions may be difficult to reverse in a timely manner because damage to the economy is observed with a lag and a resumption of asset purchases could be politically difficult.
•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s experience further turbulence as all these factors raise risk perceptions and thus the returns demanded by investors.
In this plausible downside scenario, global growth would be lower, monetary policy rates in advanced economies would stay even longer at the zero bound, and inflation would be subdued.
• Euro area growth would take a number of years to inch back above ½ percent, as activity in the periphery barely creeps out of the recession. The euro area’s current account surplus would be slightly smaller.
• In Japan, growth would fall back below ½ percent, and the current account surplus would widen again, exceeding 2 percent of GDP. Inflation would fall far short of the 2 percent target, and fiscal troubles would build.
• China would see growth below 6 percent in the medium term and a widening of the current account surplus from 2½ percent to almost 5 percent of GDP by 2018. For emerging Asia as a whole, growth would drop by more than 1 percentage point in 2014, to under 5¼ percent, and then move sideways.
• Latin America would see growth rates fall slightly after 2013, contrary to the baseline projection, and subsequently recover only modestly above 3 percent. The current account deficit would see little improvement.
• The United States would grow by about 2½ percent over the medium term. In the short term, higher interest rates weigh on activity, but over the medium-term activity resumes as lower growth induces policymakers to keep rates on hold for longer than under the baseline.
The world would be much less prosperous under this scenario than in the WEO baseline, and the policy challenges would be tougher. The number of jobs lost in the scenario relative to WEO baseline would be just under 20 million. Unemployment rates would stay at record highs for many years in the euro area periphery, and concerns about debt sustainability in various economies would return to the fore. Because growth in many emerging market economies would not pick up, it would be harder to satisfy demands for better public services and social safety nets. Such unmet demands could trigger further social tension in these economies. In advanced economies, monetary and fiscal policy space would be much more restricted. Therefore, the global economy would be more vulnerable to much worse scenario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for example, low growth rates could ultimately raise questions about the strength of the sovereign. It is,  unfortunately, a world that could plausibly materialize unless policymakers take stronger action to address the important issues. 

▶최근 7일간 많이 본 글◀

태그

국제 경제일반 경제정책 경제지표 금융시장 기타 한국경제 *논평 보고서 산업 중국경제 fb *스크랩 KoreaViews 부동산 책소개 트럼포노믹스 일본경제 뉴스레터 tech 미국경제 통화정책 공유 무역분쟁 아베노믹스 가계부채 블록체인 가상화폐 한국은행 환율 원자재 국제금융센터 외교 암호화페 AI 북한 외환 중국 반도체 미국 인구 한은 에너지 인공지능 정치 증시 하이투자증권 논평 코로나 금리 자본시장연구원 연준 주가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출 중동 산업연구원 생성형AI 채권 한국금융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일본 일본은행 BOJ 자동차 칼럼 ICO 국회입법조사처 한국 KIEP 미중관계 삼성증권 세계경제 신한투자증권 에너지경제연구원 우크라이나 인플레이션 전기차 지정학 IBK투자증권 TheKoreaHerald 분쟁 브렉시트 현대경제연구원 BIS CRE IT KB경영연구소 KB증권 KIET NBER OECD 대신증권 무역 미국대선 배터리 상업용부동산 수소산업 원유 유럽 유진투자증권 자본시장 저출산 전쟁 ECB EU IBK기업은행 IEA LG경영연구원 PF PIIE 공급망 관광 광물 규제 기후변화 로봇 로봇산업 보험연구원 비트코인 생산성 선거 신용등급 신흥국 아르헨티나 연금 원자력 유럽경제 유안타증권 유춘식 이차전지 자연이자율 중앙은행 키움증권 타이완 터키 패권경쟁 한국무역협회 혁신 환경 AI반도체 Bernanke CBDC CEPR DRAM ESG HBM IPEF IRA ITIF KDB미래전략연구소 KISTEP KOTRA MBC라디오 NIA NIPA NYSBA ODA RSU SNS Z세대 iM증권 경제안보외교센터 경제특구 경제학 고용 골드만삭스 공급위기 광주형일자리 교역 구조조정 국민연금 국제금융 국제무역통상연구원 국제유가 국회미래연구원 국회예산정책처 넷제로 논문 대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독일 동북아금융허브 디지털트윈 러시아 로슈 로이터통신 말레이시아 머스크 물류 물적분할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방위산업 버냉키 법조 복수상장 부실기업 블룸버그 사회 삼프로TV 석유화학 소고 소비 소통 수출입 스테이블코인 스티글리츠 스페이스X 신한금융투자증권 싱가포르 씨티그룹 아이엠증권 아프리카 액티브시니어 양도제한조건부주식 예금보험공사 외국인투자 원전 위안 유럽연합 유로 은행 이승만 인도 인도네시아 인재 자산관리서비스 자산운용업 잘파세대 재정건전성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주간프리뷰 중립금리 참고자료 철강 코리아디스카운트 코스피 테슬라 통계 통화스왑 통화신용정책보고서 트럼프 팬데믹 프랑스 플라자합의 피치 하나증권 하마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수출입은행 한국조세재정연구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한국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해리스 해외경제연구소 홍콩 횡재세 휴머노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