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넬대학교, INSEAD,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등 3개 기관은 세계 143개국을 대상으로 방대한 분야에 걸친 81개 지표를 분석한 결과를 『세계혁신지수(GII) 2014』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인적 요소를 중점적으로 분석한 이 보고서는 세계은행 분류에 따라 각 국가를 소득 수준별로 구분해놓고 있다. 한국은 고소득국가군에 속한다. 아래 내용은 산업연구원이 요약 부분을 번역해 소개한 것이다. 한국은 총점 기준으로 세계16위를 기록했으며 고소득국 가운데 순위는 같은 16위였다.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싱가포르와 홍콩에 이어 3위를 기록했으며 일본은 한국 다음으로 호주와 뉴질랜드에도 뒤져 지역 순위 6위를 차지했다. 아래 요약 부분에서는 상위 10개국에 대한 설명이 집중돼 한국에 대한 내용이 따로 없으나 보고서 전체적으로 참고할 만한 내용이 많으니 저장해 놓고 꼼꼼히 읽어볼 것을 권한다. 영문 보고서 전문은 여기를 클릭하면 받아볼 수 있다.)
□ 2014년 글로벌 혁신지수 동향
○ 2014년 글로벌 혁신지수 TOP 10 국가에는 스위스, 영국, 스웨덴, 핀란드, 네덜란드, 미국, 싱가포르, 덴마크, 룩셈부르크, 홍콩이 선정되었음. 이들 중 9개국은 2013년 글로벌 혁신지수 TOP 10 국가에 이미 선정된 경험이 있음. 지난해, 10위에 랭크 되었던 아일랜드가 올해엔 11위로 한 계단 하락한 반면, 2013년 12위였던 룩셈부르크는 2014년 새롭게 글로벌 TOP 10 혁신 국가에 포함되었음.
○ 예년과 마찬가지로, 2014년 글로벌 혁신지수 평가에서도 소득 수준에 따라 국가별 혁신지수가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이 지속되었음. 이는 2014년 글로벌 TOP 25 혁신 국가들은 모두 세계은행 (World Bank) 분류 기준으로 상위소득 국가군에 속하는 국가들인 것으로도 확인되고 있음. 중상위소득 국가군 중에서는 중국과 말레이시아가 상위소득 국가군에 필적할 만한 혁신지수를 나타내고 있음.
○ 2014년 글로벌 혁신지수 평가에서 Sub-Sahara 아프리카 국가들이 가장 괄목할 만한 개선의 모습을 보인 것으로 드러났음. Sub-Sahara 아프리카 33개 국가들 중, 17개국의 혁신지수가 지난해에 비해 순위 상승을 기록했으며. 3개국은 지난해와 같은 순위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고, 2개국은 새롭게 순위에 진입한 것으로 드러났음. 나머지 11개국의 순위는 2013년 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음.
○ 2014년 글로벌 혁신지수 보고서에서 주목할 현상으로는 BRICS 국가간 혁신지수 편차가 확대되는 것을 꼽을 수 있음. 중국이 다른 BRICS 국가들에 비해 가파른 혁신지수 개선의 추세를 나타내는 반면, 인도의 혁신지수는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현재의 긍정적인 흐름을 지속될 경우, 수년 이내에 중국이 글로벌 TOP 25 혁신 국가 리스트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함.
□ 글로벌 인적 요소 (Human Factor) 혁신 동향
○ 경제 개발이 앞선 국가들일수록, 대학 교육을 받은 인구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전세계적으로 대학 진학률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상위소득 국가들의 대학 진학률은 저소득 국가들의 대학 진학률을 크게 앞지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득 편차에 따른 대학 진학률 격차는 Sub-Sahara 아프리카 지역에서 더욱 두드러진 것으로 드러났음.
○ 전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대학 진학률과 대학교육 이수자의 인구 비중을 나타내고 있는 국가들은 인구 대비 연구 인력 면에서도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음.
○ 개발도상국들은 자체적인 연구개발 역량 보다는 선진국들로부터의 혁신기술 이전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 자원의 개발 수준이 낮은 국가들에서는 연구개발 활동이 생산적인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음.
○ 국가의 혁신을 주도할 가장 결정적인 요인으로는 고숙련 인적 자원의 보유 규모와 동향이 꼽히고 있음.
○ 전세계적으로 가장 발전이 낙후된 지역일수록 혁신과 관련한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음. 즉, 저개발 국가들은 청년층이 고등교육에 진학할 만한 적절한 동기 부여나 인센티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부족한 고등교육 인구는 다시 숙련 노동자의 공급을 가로막음으로써 효과적인 경제 발전의 장애 요인이 되고 있음.
○ 전세계적으로 인구 대비 대학 진학률, 대학 교육 이수자, 연구 인력의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북미, 서유럽, 중부 및 동부 유럽 지역으로 드러났음.
○ 중앙 아시아 국가들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이 전세계에서 대학 진학률이 가장 가파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는 지역으로 선정되었음. 특히, 고등교육 시스템이 날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대학 진학률과 연수 인력 증가율은 아시아 국가들 가운데서도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음.
○ 아프리카 출신 고숙련 인력의 전세계 이주 증가율은 10.6%에 이르고 있음. 이는 세계 평균 이주 증가율인 5.4%의 두 배에 이르는 주목할 만한 수치임. 한편, 중국과 인도가 전세계 과학과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최고 학위 보유자들을 가장 많이 배출하고 있는 국가들인 것으로 밝혀졌음.
※ 아래 그림을 클릭하면 원래 크기로 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