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본 보고서에서는 세계 전체에서 진행되는 고령화의 현황과 세계 의료기기 시장의 동향과 비즈니스 구조, 의료기기업계의 향후 동향 등에 대해 고찰함.
□ 세계의 의료기기 시장의 동향과 비즈니스 구조
○ 의료기기 시장의 성장성과 매상 상위 기업
- 세계의 의료기기 시장은 2014년 시점에서 약 4,000억 달러, 6.5%의 페이스(2011~2017년)로 성장할 전망임. 이 중 매상규모 상위의 20사는, 모두 구미의 의료기기 메이커에 의해 점해지고 있음. 이들 대규모 메이커는, 압도적으로 유리한 포지션을 획득하며 높은 이익률을 구가하고 있음.
○ 일본 메이커에 있어서의 의료기기 시장의 위치
- 전자기기를 비롯하여 종래의 수익원이었던 시장의 수익구조가 격변하는 가운데, 일본 메이커에 있어서의 의료기기 시장의 중요성은 향후 확대되는 일은 있어서 감소하지는 않을 것임. 한편, 일본 메이커가 이 시장에서 수익을 획득하는데 있어서는 과제도 많이 있음.
○ 의료 산업의 구조와 비즈니스의 특징
- 의료 산업의 구조를 보면, 의료기기의 주요 시장인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환자, 각국 정부, 메이커 및 서비스 벤더가 서로 영향을 미치며 산업의 변화를 창출하는 구조가 되고 있음.
- 의료 산업에 있어서의 메이커란, ‘주로 의료기관에 판매되는 제품’ 중, 특히 ‘약사법의 인허가를 얻을 필요가 있는 제품’을 개발·제조·판매하는 메이커를 가리킴.이들 메이커는 크게 2가지로 분류되는 치료용 의약품 및 백신 등을 주로 취급하는 의약품 메이커, 그리고 상기 이외를 취급하는 의료기기 메이커임.
□ 세계 각국에서 고령화와 건강지표의 악화가 진행
○ 고령화는 선진국·신흥국 공통의 문제
- 의료기술의 발달, 생활환경의 개선 및 경제 발전에 따른 장수명화와 저출산으로 인해 세계 전체에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음. 2010년 시점에서, 일본의 수준을 웃돌고 있는 국가는,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순으로, 러시아, 영국, 인도임. 이 3개국은 2010년 시점에서 비(非)건강인구비율이 10%를 초과하고 있음. 2030년이 되면, 태국과 러시아가 일본의 수준을 웃돌고, 2030년에는 다수의 신흥국에서, 2010년의 일본의 수준 11%에 달함.
○ 세계적으로 생산연령인구의 비율이 감소
- 한편, 생산연령인구의 비율도 세계적으로 감소하고 있음. 생산연령인구를 15세 이상 65세 미만의 층으로 보면, 일본에서는 2055년에 그 비율이 51%까지 감소를 지속, 세계 각국에서도 특히 진행된 고령화 사회를 형성할 것으로 보임.
- 선진국가들도 평균적으로, 2020년에는 2010년의 일본의 수준인 64%로 감소할 것으로 보임. 여기에서 간과할 수 없는 점은 신흥국의 움직임인데, 지금까지 상승했던 생산연령인구비율이, 신흥국에서도 2015년을 경계로 감소로 전환함. 단기간에, 또 지금까지와는 달리 변화하여 갈 가능성이 높은 재정 상황 속에서, 신흥국은 의료 및 개호 등의 복지 정책을 전개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에 있음.
○ 선진국에서는 의료비 지출의 억제와 개호가 과제
- 선진국에게 있어 커다란 과제는, 계속 감소하고 있는 생산연령인구비율 아래, 의료비 지출을 억제하고 개호 관련 지출을 늘리는데 있음. 의료비 지출의 비율은,미국을 제외하고 각국 모두 12% 이하로 추이하고 있음. 고령화가 이대로 진행하면, 고령자 1인당 의료비 지출은 억제하지 않을 수 없는데, 위해 의료비의 효율화가 커다란 과제가 됨.
- 한편, 증가하는 요(要)개호 층에 대한 대응도 필수가 됨. 개호비 지출이 증가하고 있는 선진 각국에 있어, 의료비 지출을 효율화하고 한정된 재원으로 개호 인프라를 충실히 하는 것이 또 하나의 과제임.
- 의료 산업의 문제는, 선진국의 의료비 증대에 한정된 이야기는 아님. 고령화와 건강상태의 악화는 선진국뿐만 아니라 신흥국에서도 진행되고 있어, 그 경제 성장의 진척과 비교하면 심각한 문제임.
□ 의료기기 메이커에 요구되는 공헌
- 이러한 환경에서 의료기기 메이커에 강하게 요구되는 것은, ①기존 제품의 저가격화, ②의료기기·개호 현장의 오프레이션의 효율화 및 선진국을 주요 대상으로 하는, ③혁신적인 신제품·서비스의 개발, ④예방의료 효과의 향상에의 공헌임.
□ 미국의 제조업 회귀 정책과 의료기기업계의 향후
- 제조업 회귀 정책에 따라, 미국 정부로부터 기술개발력 강화의 지원을 받은 미국 의료기기 메이커는 상술한 ②, ③, ④의 분야에서 기술 이노베이션을 조기에 실현하고 선행자 이익을 누릴 가능성이 높음.
- 한편, 일본 정부의 의료와 관련한 산업 정책의 지원 내용에는 편차가 있어, 일본 메이커는 뒤쳐질 가능성이 높음. 특히 일본에서는 판매기능의 완을 목적으로 한,의료기기 산업 지원 정책의 조기 확충이 필요함.
<자료 출처 및 원문바로가기>
노무라종합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