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화의 성공과 실패
(1) 글로벌화의 긍정적 영향
□ 글로벌화는 경제성장, 가격하락과 선택품목 증가에 따른 소비자 후생 증가, 임금 및 근로여건 향상, 신기술 및 경쟁의 확산을 통한 생산성 및 웰빙 증가 등의 긍정적 파급효과를 유발
ㅇ OECD 분석에 의하면, 아웃소싱과 오프쇼어링(offshoring) 등을 포함하여 국제무역이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미친 긍정적 영향은 매우 컸던 것으로 나타남 ⇒ 무역장벽 50% 축소 효과 (G20국 대상 추정치)
- 일자리수 : 저기술 0.3%∼3.3%, 고기술 0.9%∼3.9% 증가,
- 실질임금 : 저기술 근로자 1.8%∼8.0%, 고기술 근로자 0.8%∼8.1% 증가,
- 수출 : 장기적으로 20%까지 증가(유로지역의 경우 10% 이상)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총요소생산성 증가 둔화폭의 약 50%는 위기 이전 글로벌 무역집중도의 상승 추세가 지속되었다면 예방이 가능했을 것으로 추정됨
ㅇ 글로벌 금융위기를 포함하여 글로벌 경제성장이 부진하였던 시기는 국제무역의 침체기와 겹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