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 산업의 대표 소재지를 관할하는 한국은행 지역본부에서 각종 행내외 통계자료, 업체 모니터링 결과 등을 이용하여 작성한 자료로, 주력산업의 최근 동향 및 전망에 관한 분기별 모니터링 보고서 주요 내용.
(사진 출처: donga.com) |
▶ 반도체 수출증가율: 23.1/4 –40.0% → 2/4 –34.8% → 7월 –33.6%
▶ AI 관련 신시장 확대, 모바일 신제품 출시 등이 전반적인 IT기기 수요 부진을일부 상쇄하는 가운데 감산 등 공급축소에 따른 수급개선 효과가 점차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 자동차는 친환경차 및 신차 판매 호조, 부품수급 정상화에 따른 가동률 상승으로 2/4분기 중 생산(+20.3%)과 판매(내수 +8.9%, 수출 +34.0%)가 증가세를 지속하였으며 3/4분기에는 견조한 해외수요에 비해 내수 증가세가 소폭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
▶ 자동차 생산증가율(대수): 23.1/4 +27.1% → 2/4 +20.3% (생산지수 133.7로 역대최고)
▶ 국산 전기차의 미국 IRA 보조금 제외에 대해 리스 비중 확대, 인센티브 증액 등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판매가격 인하 경쟁 등은 제약요인이며, 내수도 양호하겠으나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 전기차 수요 약화 등은 둔화 요인이다.
⭘ 석유화학은 주요국 설비 증설에 따른 공급증가, 세계경제 성장 둔화 등으로 2/4분기 가동률이 하락하면서 5분기 연속 생산이 감소(-16.0%)하였으며 그동안 누적된 대규모 설비확장 등으로 업황 부진이 지속될 전망이다.
▶ 석유화학 생산증가율(생산지수): 22.4/4 –20.1% → 23.1/4 –20.4% → 2/4 -16.0%
▶ 중국내 자급률 상승으로 대중국 수출이 제한되는 가운데 수출단가는 4분기연속 하락(-24.2%)하면서 일부 공장이 손실 축소를 위해 가동을 중단하였다.
⭘ 철강은 자동차, 조선 관련 수요 호조와 가전, 기계 부문 부진이 엇갈리는 가운데 중국 및 일본 제품과의 경쟁 심화 등으로 2/4분기 생산이 소폭 감소(-2.4%)하였으며 향후에도 중국경제 회복 지연 등의 영향으로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 특히 글로벌 경쟁 심화로 수출단가 하락압력(2/4분기중 -12.3%)이 지속되는 데다하반기 중 건설 및 설비투자 부진 등도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 조선은 축적된 수주잔량을 바탕으로 2/4분기 중 생산(+4.6%)과 수출(금액, +21.1%) 증가세를 지속하였으며 3/4분기에도 양호한 생산수준과 뚜렷한 수익성 개선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 2/4분기 중 신규 수주는 고부가가치선 선별 수주 노력 등으로 전분기보다 감소(-36.2%)하였고 국내 업체의 신규 수주 점유율(20.9%)도 하락(-14.1%p)하였다.
⭘ 디스플레이는 IT, 가전 등 전방산업 수요가 여전히 부진한 편이나 재고소진 등으로 2/4분기 중 생산(-21.0%)과 수출(-16.4%) 감소폭이 전분기보다 축소되었고 3/4분기에도스마트폰 신제품 출시 등에 따른 생산 회복 흐름이 이어질 전망이다.
▶ 디스플레이 생산증가율(생산지수): 23.1/4 –33.0% → 2/4 –21.0% 수출증가율(통관금액): 23.1/4 –39.3% → 2/4 –16.4%
▶ 다만 판매가격은 중국 업체들의 단가 인하 등으로 중소형 OLED 패널이 전분기대비 하락하였고 대형 OLED는 정체되는 모습이다.
⭘ 이차전지는 2/4분기 중 수출이 양호한 모습이나 미국 및 유럽 시장 경쟁 심화 등의 영향으로 증가폭(이차전지 +6.8%, 양극재 +32.5%)은 축소되었으며 3/4분기에도 견고한 친환경차 및 ESS 수요로 증가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 수출증가율(통관금액) 이차전지: 23.1/4 +25.7% → 2/4 +6.8% 양극재: 23.1/4 +115.0% → 2/4 +32.5%
▶ 최근 미국의 전기차 판매량 증가폭이 다소 축소된 점, 유럽에서는 국내업체 현지법인 생산 확대 및 중국업체 점유율 상승 등은 증가세 둔화 요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