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금 가격 랠리가 지금까지 있었던 3차례 '슈퍼 랠리'에 이은 네 번째 슈퍼 랠리인지는 판단하기 이른데, 그 이유는 전통적으로 금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최근 가격 상승을 설명하기 쉽지 않다는 데 있다. 하이투자증권 보고서는 이에 대해 최근 금 가격을 밀어 올린 요인이 과도한 미국 정부 부채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 금 가격, 온스당 2,000달러를 재돌파
잠시 숨 고르기를 하던 금 가격이 재차 상승 랠리를 보이면서 온스당 2,000달러를 상회하고 있다. 전고점인 10월 27일 온스당 2,006.4달러는 물론 SVB 사태 여진이 지속되던 지난 5월 5일(2,016.79달러) 이후 최고치도 넘어섰다. 이제는 사상 최고치를 넘보기 시작했다. 참고로 11월 28일 종가 금 가격은 온스당 2,040.29달러이다. 온스당 2,000달러를 넘어선 금 가격 랠리를 두고 일부지만 추가 랠리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금 가격이 온스당 2,500달러는 물론 3,000달러까지도 상승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어 주목된다.
우선, 최근 금 가격 랠리 배경으로 금리 및 달러 가격 안정과 각종 지정학적 불안감 그리고 일부 국가(중국, 싱가폴 및 폴란드) 중앙은행의 금 매수 확대를 지적하고 있다. 이들 원인을 종합해보면 금이 지니고 있는 모든 성격, 즉 안전자산 및 달러 헤지 수요 그리고 상품(=위험자산) 수요가 복합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풀이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최근 금 가격 랠리는 좀더 중·장기적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우선 중기 관점에서 2015년 이후 금 가격 랠리는 안전자산 및 유동성 확대 그리고 인플레이션에 의해 좌우되었다. 미-중 갈등과 코로나19 팬데믹(=유동성 확대) 당시인 2019년~2020년 랠리, 러-우 전쟁 및 인플레이션 우려에 따른 2022년 상반기 랠리 그리고 SVB 사태(=유동성 확대) 및 하이퍼 인플레이션 우려에 기반한 2022년 하반기~2023년 상반기 랠리이다. 반면 최근 금 가격 랠리는 이전 변수로는 설명하기 힘든 랠리이다.
현 랠리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초장기 추이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1960년 이후 금 가격의 슈퍼 랠리는 이번을 포함해 4차례다. 1970년대 미국의 금 태환 정지 사례, 1985년 플라자 합의 사례 그리고 2000년대 닷컴 버블과 중국 붐 사례이다. 그리고 2019년 이후 현재까지의 금 랠리로 슈퍼 랠리를 요약할 수 있다. 이 중 이번 랠리를 제외하고 3차례 금 가격 슈퍼 랠리의 공통점은 달러화 초약세였다. 경기 영향도 무시할 수 없지만 장기간의 달러화 초약세 현상이 금 가격의 슈퍼 랠리의 촉매제 역할을 했다. 이런 측면에서 2019년부터 달러화 강세 흐름 속에서도 랠리를 보이고 있는 이번 금 가격 랠리는 다소 특이한 케이스이다.
그래서 다른 각도에서 이번 금 가격 랠리를 설명한다면 코로나 2019를 기점으로 한 유례없이 풀린 유동성과 수십년만에 경험하는 고인플레이션에 따른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 그리고 다양한 갈등 리스크로 인한 안전자산 수요를 지적할 수 있지만 금, 달러 그리고 비트코인이 동반 랠리를 보이고 있어 이 설명 역시 한계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당사는 이번 금 랠리에는 이전과는 구분되는 또 다른 요인이 내포되어 있다는 판단이다. 기존의 유동성 요인, 안전자산 수요 및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와 함께 미국의 부채 급증도 중요한 요인 중에 하나로 판단된다.
<그림 4>에서 보듯 미국 정부부채와 금가격이 강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팬데믹 등 위기 극복 차원과 경기부양 및 산업 패러다임 전환 차원에서 과도하게 지출된 재정지출, 즉 정부부채 급증이 금 및 비트코인으로 상징되는 달러 대체 통화수단에 대한 투자 열기로 이어지지 않은가 싶다. 즉, 미국 정부부채 급증이 미국 국가신용등급 강등에서 보듯 달러화에 대한 신뢰도 약화로 이어지고 있는 듯한 분위기이다. 여기에 미국-중국, 미-러시아간 갈등으로 촉발된 신냉전 분위기 혹은 패권 갈등이라는 리스크도 금 가격 랠리에 일조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슈퍼 랠리인지 미지수지만 단기적으로 강세 분위기를 이어갈 전망임
앞서 언급한 것처럼 금 가격이 온스당 2,500 달러를 상회할지는 불투명하지만 금리
안정에 따른 달러 약세 기대감 강화 그리고 각종 지정학적 리스크 해소 지연 등은 금
가격의 강세 요인으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
더욱이 미국 경기 침체 리스크가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정부 부채 확대
우려 그리고 미-중 갈등 지속 속에 중국의 미 국채 매도와 달러 매수 현상 지속 등도
금 가격의 강세를 지지할 공산이 높다.
금 가격의 추가 랠리는 글로벌 경기차원에서 긍정적 시그널로 해석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금 가격 랠리가 진정되어야 경기 모멘텀이 본격적으로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