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의 이해와 금융권에서의 활용》
■ 본고에서는 비트코인 시스템이 사용하는 블록체인을 중심으로 기술적 요소들을 설명하고자 함.
- 비트코인 블록체인은 일반대중에 개방된 퍼블릭(public) 블록체인으로서, 모든 참가자들이 과거부터의 모든 거래기록들을 분산하여 독립적으로 보유하는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시스템임.
- 블록체인 시스템은 모든 참가자에게 한쌍의 개인키(private key, K₁)와 공개키(public key, K₂ ; 일종의 네트워크 주소)를 발행하는데, 개인키는 소유자 본인만이 보관하고(따라서 물리적으로 해킹당할 위험은 존재) 공개키는 다른 참가자들에게 공개됨.
- 현재의 공인인증서(National Public Key Infrastructure ; NPKI) 시스템도 비대칭키 암호체계를 사용함. 즉 개인키(전자인감)는 고객 본인이 보관하고, 공개키에 해당하는 공인인증서(전자인감증명서)는 금융기관 등에 등록·보관하다가 금융거래 등에서 고객이 개인키로 서명을 하면 해당 금융기관이 보관하고 있는 공인인증서로 고객(계좌의 소유자가 맞는지 등)을 인증함.
- K₁과 K₂는 일정한 역함수관계에 있기 때문에 K₁으로 암호화한 문서는 오직 K₂로만 해독할 수 있고, 그 역도 성립함. 뿐만 아니라 K₂가 공개된 상태에서도 해커가 타인이 보유한 K₁을 계산(복제)하는 것은 현대 컴퓨터 기술로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이론적으로 정립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