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신흥국 기업들의 부채가 빠르게 증가하여 신흥국은 물론 세계 경제의 불안요소가 되고 있음. 특히, 아시아지역 신흥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이 1990년대말 아시아 금융위기 수준까지 상승하였으며, 신흥국 기업부채 문제는 미 연준의 금리인상 시기를 기점으로 가시화될 가능성이 존재함. 이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도 해외자본 유출, 신흥국에 대한 수출 감소 등 부정적 파급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외화 유동성 관리, 신성장동력 발굴 등 다방면의 대책 마련이 요구됨.■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신흥국의 기업부채가 빠르게 증가하여 신흥국의 금융 불안정과 성장세 둔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
•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이루어진 부채성 자금조달(가계, 비금융 기업, 정부의 차입, 회사채 발행 등) 규모를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로 구분하여 보면, 2000~2007년 중에는 37조 달러, 2008~2014년 중에는 49조 달러로 추산됨.
• 전세계 부채성 자금조달에서 신흥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2007년 중에는 23%, 2008~2014년 중에는 47%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신흥국의 부채성 자금조달이 크게 증가하였음.
• 이 중 신흥국 기업(금융회사 제외)들이 조달한 자금의 비중은 2000~2007년 중에는 10%(3.7조 달러)였으나, 2008~2014년 중에는 25%(12.3조 달러)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규모는 3배 가까이 증가하였음.
• 2014년 2분기 기준 중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1990년대말 아시아 금융위기 직전인 1996년의 한국 수준(98%)보다 높으며, 말레이시아, 태국 등은 1996년 태국 수준(50%)을 넘어서고 있음.
* 특히, 중국, 말레이시아 등의 기업들은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금융비용)이 악화되고 있어, 기업 부채의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음.
• 또한 2008년 이후 발행된 신흥국 기업들의 회사채 중 약 20% 정도가 외화표시 회사채로 환위험에 노출되어 있음.
■ 신흥국 기업 부채 문제는 미 연준 금리인상 시기를 기점으로 신흥국 경제의 불안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
• 금년 하반기 미 연준이 금리를 인상할 경우 글로벌 금리 인상으로 파급되어, 신흥국 기업의 부채상환 부담이 악화될 가능성이 존재함.
• 또한 미 연준 금리인상이 신흥국 통화의 약세로 이어질 경우 신흥국 외화표시 부채의 실질 상환부담이 가중되고, 이들 국가의 외화자금조달 능력이 악화될 가능성이 존재함.
■ 이러한 인식 하에 우리나라 기업부채에 대한 점검과 함께, 신흥국 경제가 불안해질 경우 우리나라의 실물 및 금융 부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점검할 필요성이 있음.
■ 2014년말 기준 국내 기업의 GDP 대비 부채비율은 105%로 2005년에 비해 30%p 가량 크게 상승하였으며, 자산규모 하위 25%에 속하는 중소기업의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금융비용)이 악화되고 있어 우리나라도 기업부채 문제에 대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임.
• 국내 기업의 GDP 대비 부채비율은 1998년 외환위기(114%) 이후 감소하여 2005년 76%까지 하락하였으나, 다시 상승하여 2014년 기준 105%를 기록하고 있음.
• 2014년 기준 전체 기업의 이자보상비율은 300% 수준인 데 반해, 자산규모 하위 25%에 속하는 기업의 동 비율은 42%에 그쳐 매우 열악한 상황으로, 다수의 중소기업은 영업이익으로 금융비용을 조달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판단됨.
■ 해외 투자자 입장에서 우리나라가 신흥국으로 분류되는 경우 신흥국들로부터 자본유출 발생시 우리나라에서도 자본유출의 가능성이 존재함.
• 2009년 이후 글로벌 자금의 투자 행태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홍콩, 태국, 인도네시아 등과 같은 투자 대상 국가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이들 국가들에서 해외 자금이 유출될 경우 우리나라에서도 해외자금이 유출될 가능성이 있음.
* 그러나 중국, 말레이시아, 칠레, 터키 등과는 자본유출입의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 또한, 실물경기 측면에서 보면 우리나라 수출의 신흥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기업 부채문제 등으로 신흥국의 경기가 불안해질 경우 우리나라 수출에 대한 부정적 파급효과가 예상됨.
• 2014년 기준 신흥국에 대한 수출 비중은 우리나라의 경우 58.9%로 OECD 국가(30.6%) 및 여타 신흥국(40.7%)에 비해 높은 편임.
■ 이상과 같은 금융·실물 측면에서의 파급효과를 감안할 때 기업 재무구조 개선, 기업 구조조정 및 외화 유동성 관리가 시급하며, 중장기적으로는 신성장동력 발굴에 지속적인 노력을 경주할 필요가 있음.
• 과도하게 확대된 차입금융 시장을 정비하고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 등을 대상으로 한 지분금융(equity financing) 확대를 유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