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자원 개발 및 수송 루트, 더 나아가 군사·안전보장 면에서 북극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이런 가운데 2013년 5월에 개최된 북극이사회(AC : Arctic Council)에서는 북극해 연안국가뿐 아니라 일본, 중국, 한국, 인도, 싱가포르, 이탈리아의 상임 옵서버 자격(의결권을 가지지 않는 참가 자격)이 인정됨. 북극해를 둘러싸고 최근 몇 년 간 특히 중국의 진출이 화제가 되고 있음. 북극해의 자원과 중국의 북극해에 대한 관여를 축으로 북극해 개발 움직임을 소개함.
□ 북극해의 석유, 천연가스 자원
□ 북극해의 석유, 천연가스 자원
- 미국지질조사국(USGS)의 보고서에 따르면 33지역 중 10% 이상의 발견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된 것은 25지역임.
- 이 지역의 자원량을 평가한 결과, 북극권 전체 미발견 석유는 약 900억bbl, 천연가스는 약 1,669조cf(약 2,780boe), 천연가스 액체(NGL)는 440억bbl로, 합계 약 4,120억boe으로 추산됨. 석유에 비해 천연가스의 잠재력이 매우 큼. 이 중 84%의 자원이 해역에 잠들어 있는 것으로 추측됨.
- 한편 지금까지 러시아, 캐나다, 알래스카(미국)의 북극권에서는 육지 영역을 중심으로 400개 이상의 오일가스전, 2,400억boe의 석유와 천연가스가 발견됨. 이것은 세계 전체의 약 10%로, 상당한 양임.
- 단, USGS는 북극의 대부분, 특히 해양 자원은 기본적으로 아직 탐사되지 않아 북극권 대륙붕은 지구상에 남겨진 최대 미탐사 지역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평가함.
- 이 지역의 자원량을 평가한 결과, 북극권 전체 미발견 석유는 약 900억bbl, 천연가스는 약 1,669조cf(약 2,780boe), 천연가스 액체(NGL)는 440억bbl로, 합계 약 4,120억boe으로 추산됨. 석유에 비해 천연가스의 잠재력이 매우 큼. 이 중 84%의 자원이 해역에 잠들어 있는 것으로 추측됨.
- 한편 지금까지 러시아, 캐나다, 알래스카(미국)의 북극권에서는 육지 영역을 중심으로 400개 이상의 오일가스전, 2,400억boe의 석유와 천연가스가 발견됨. 이것은 세계 전체의 약 10%로, 상당한 양임.
- 단, USGS는 북극의 대부분, 특히 해양 자원은 기본적으로 아직 탐사되지 않아 북극권 대륙붕은 지구상에 남겨진 최대 미탐사 지역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평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