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엔저의 정착에도 불구하고 수량 기준 수출의 증가세가 둔함. 통관통계 속보(엔화표시, 2013년도)에서는, 수입 증대도 가세하며 무역수지는 3년 연속으로 큰 폭의 적자(13.7조 엔)를 기록하였음. 본 보고서에서는 일본의 수출의 주요 품목의 경쟁력은 하락하고 있는지, 상품별로 그 움직임을 검토해 보았음.
■ 2013년도 무역 동향과 상품별 수지
○ 무역품목 분류와 2013년도 시장 점유율
- 주요 품목에서는 자동차·자동차 부분품, 전자부품 등을 포함한 전기기기, 일반기계, 화학제품, 철강, 광물성연료의 6품목을 채택, 이들 수출입 금액의 움직임, 수량·가격요인에서 본 움직임, 수지 및 무역특화계수 등을 검토하였음.
- 수출에서는 자동차 등, 전기기기, 일반기계의 합계에서 약 56%, 화학제품과 철강의 합계에서 약 16%의 점유율, 이들의 합계에서 70% 정도를 점함. 또, 수입에서는 광물성연료가 약 32%로 점유율은 최대로, 제품 수입 중에서는 전기기기의 점유율이 약 15%로 가장 높아지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