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발간한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R&D 현황과 과제』라는 제목의 보고서 주요 부분을 소개한다. 한국의 서비스업 생산성이 저조한 것에 대한 문제 의식은 오래 전부터 확산되고 있지만 효과적인 개선책은 아직 자리잡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보고서 전문은 여기를 클릭하면 받을 수 있다.)
▣ 서비스 산업의 혁신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R&D 투자라는 점을 고려해볼 때 우리나라 서비스 기업의 저조한 R&D 활동은 미래 경쟁력 확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
○ 우리나라 기업 총 R&D 지출에서 서비스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10.7%(2000) → 8.9% (2011)로 하락했으며, 우리나라서 비스 기업 R&D 지출규모는 영국의 26.1%, 일본의 32.2%, 독일의 49.8% 수준에 불과
- STEPI(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설문조사(4,017개 응답)에 의하면 "서비스 상품을 혁신했다"고 응답한 서비스 기업은 전체 서비스 업체의 7.1%로 제조업(13.5%)과 큰 격차 (2012)
• "프로세스를 혁신했다"고 응답한 서비스 기업은 전체 서비스 업체의 5.8%로 역시 제조업(8.0%)을 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