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경영연구소가 발표한 『국내 도심형 실버타운 현황 및 전망』 보고서 가운데 주요 부분을 소개한다. 주택시장 대붕괴론이 제기될 때마다 나는 이에 대한 경계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인구 고령화와 미래의 인구 감소 등 인구 구조 변화는 분명 주택시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존 개념의 주택 수요도 감소가 불가피할 것이다. 그러나 아래 소개한 내용을 포함해 주택시장에서도 다양한 구조적 변화를 동반한 신규 수요가 생겨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이 보고서 전문은 여기를 클릭하면 받아볼 수 있다.)
※ 국내 고령화 추이 및 거주환경
■ 고령화 및 고령계층의 자산구조
○ 국내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자는 현재 약 598만명(2012년 기준)으로 총인구의 11.7%를 차지하고 있으며, 고령화 속도도 빠르게 진행 중
▷ 한국은 이미 고령화사회 단계로 향후 고령사회 진입에 6년, 초고령사회에 14년밖에 소요되지 않을 전망
○ 한편 가계의 자산구조를 살펴보면, 60~64세에 총자산이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총자산 규모는 점차 축소되나 부채도 감소함에 따라 자산 건정성은 다소 양호한 수준으로 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