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최근 미국에서 전반적인 주택경기의 회복에도 불구하고 금융위기 이후 주택임대 생활로 내몰렸던 중산층들이 주택시장 재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미국민들의 주택보유율 저하로 나타나고 있음. 특히 청·장년층의 주택보유율 하락이 두드러지면서 미국의 실물경제 회복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음. 향후 미국 정부는 서민주택 생애첫구입자 및 주거취약계층에 대한 주택금융 지원제도를 강화할 필요성이 증대될 것으로 보임.
■ 최근 수년간 미국에서 전반적인 주택경기 회복에도 불구하고 상당수 중산층들이 이에 편승하지 못하면서 미국민들의 주택보유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음.
- 전미부동산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에 따르면 금년 1분기 중 미국 178개 주요 도시의 83% 지역에서 주택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 S&P 케이스-쉴러 주택가격지수(S&P CoreLogic Case-Shiller Indices)에 따르면 금년 7월말 현재 전국 주택가격은 금융위기 직전 정점(2006년 7월말)을 2.0% 하회한 수준까지 회복한 것으로 나타남.
- 그러나 금년 2분기 말 현재 주택보유율(homeownership rate)은 전년 2분기 말의 63.4%에서 62.9%로 하락하여 미국 통계국의 통계 집계(1965년) 이후 51년래 최저수준을 기록함.
- 미국 가구의 연령별 주택보유율은 ① 34세 이하 34.1%, ② 35~44세 58.3%, ③ 45~54세 69.1%, ④ 65세 이상 77.9% 등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