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우디아라비아는 2016년 4월 무함마드 빈 살만(Mohammad bin Salman)의 주도로 석유 중심의 산업구조를 다각화하고 사회문화적 전환을 이루기 위한 장기 국가 혁신 전략인 ‘사우디 비전 2030’을 발표하였음.
- 사우디아라비아는 높은 석유산업 의존도로 인해 국제유가 변동에 따라 경제성장률과 정부 재정 수지가 불안정한 구조적 문제를 겪고 있어 탈석유 산업다각화가 중요한 국가적 과제임.
- 사우디아라비아는 과거 ‘개발비전 1970-85’, ‘20년 장기 계획(Long-Term Strategy 2024)’ 등의 탈석유 산업다각화를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차례 수립하였으나 국제유가가 상승할 때마다 개혁이 지지부진해지면서 그동안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음.
- 2014년 이후 저유가 기조가 지속되고, 특히 최근 미국이 비전통방식의 원유 생산 증가를 바탕으로 최대산유국이 되면서 더 이상 배럴당 100달러 이상의 초고유가가 실현되기 어려움.
- 청년층 인구가 증가하는 가운데 고용유발효과가 높은 민간 및 비석유 부문의 발전은 더디고, 정부 보조금도 유지하기 어려워지면서 높은 청년실업률이 사회의 주요 불안요소로 제기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