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노인에 대한 고정관념
■ 소득 증가에 따른 삶의 질 개선, 건강관리 등으로 과거보다 노화의 속도가 둔화
- 한국인의 평균 건강수명(질병이나 사고로 활동하기 어려운 기간을 제외한 수명)은 2000년 68세에서 2016년 73세로 늘어남
- 노인의 기본 신체기능을 측정하는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평가 결과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없는 정상 노인의 비율이 1994년 49.7%에서 2008년 81.6%로 증가(이윤정 외, 2010)
- Morgan E. Levine 등은 1988~2010년 사이 미국인의 노화속도를 분석했는데 최근으로 올수록 흡연율 감소 등 생활방식의 변화와 약물 사용 등 의학 발전으로 생물학적 노화 속도가 느려져 현재 60세를 과거 50세 수준으로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