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래 전에 블로그에 소개했던 글인데 블로그 독자가 늘기도 했고 문득 개인적으로 다시 들여다볼 기회가 있어 다시 소개한다. 아래 소개한 내용은 최근 그리스 전 총리도 적극 주장하는 글을 Project Syndicate에 기고한 바 있기도 하다.)
제2차 세계대전이 막바지로 접어들던 1944년 미국 등 연합국들이 모여 전후 국제금융 질서를 새로 수립하고자 달러와 금을 연동시키고 다시 다른 나라 통화를 달러에 연동시키는 방식의 체제에 합의했고 이를 브레튼우즈체제라고 한다. 그러나 이 약속은 1971년 미국이 달러와 금과의 연동을 중단한다고 발표하면서 사실상 막을 내렸다. 이후 새로운 통화질서를 수립하지 못한 채 세계는 여전히 달러를 거의 절대적인 기축통화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후 여러 차례 금융위기가 발생하고 급기야 2008년에는 가장 합리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던 미국에서 금융위기가 발생해 전세계가 대공황 이후 가장 심각한 불황에 직면했다. 이렇게 되자 미국과 일본 등 기존 선진국들은 물론 중국과 브라질 한국 등 신흥국들이 함께 모여 정책 공조를 약속했다. 하지만 이 G20 협의체는 위기감이 잦아들면서 명맥만 남게 됐고 새로운 국제 경제 및 금융 질서 수립은 이번에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현재의 달러 중심 통화질서의 가장 큰 문제는 달러가 미국이라는 한 나라의 통화인 동시에 세계의 기축통화라는 점과 함께 달러의 가치에 영향을 줄 정책을 미국이라는 한 나라가 전담하고 있지만 이를 간섭할 국제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데 있다. 따라서 미국 경제가 어려워져도 달러 수요가 늘고, 심지어 미국이 금융위기를 일으켜도 달러 가치가 올라가는 기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미국의 경상수지가 확대돼도 미국은 채권을 맘놓고 발행해 유통시킬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브레튼우즈체제 수립시 케인즈가 주장했지만 채택되지 못한 국제청산동맹(ICU) 및 그 일부라고 할 국제통화 방코(또는 방코르ㆍbancor)의 원리가 새삼 눈길을 끈다. 경제를 전공한 사람들은 누구나 알고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나로서는 최근 『The Age of Oversupply』라는 책을 읽다가 비로소 내용을 접하게 됐다. 혹시 아직 상세한 내용을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책에 소개된 부분을 정리해 공유한다.
▣ 방코는 세계 중앙은행들끼리 결제할 수 있는 화폐로 세계 모든 화폐의 가치는 방코와의 상대 환율로 표시된다. 방코는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는 없다. 케인즈가 생각하고 있었던 것은 오늘날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SDR)과 개념은 유사하지만 기능과 용도는 훨씬 광범위한 것이었다.
▣ 당시 고전적인 금본위제는 실시할 수 없었지만 그 취지를 고려해 케인즈는 무역 위기 예방에 필요한 국제 환율 안정을 확립할 수 있는 세계 표준 화폐를 고안한 것이다. 달러를 금에 연동시키고 각국 화폐를 다시 달러에 연동시키는 문제는 금의 공급이 제한적인 것 등의 문제 때문에 미국에 큰 압력을 가하게 되었고 이후 미국은 결국 달러의 금 연동을 중단하게 되었지만 케인즈가 생각한 방코는 그런 제약은 없었다.
▣ 케인즈는 방코 자체가 신용화폐지만 각국이 자국의 무역 결제 규모를 감안해 적정량의 방코를 보유할 수 있게 통제할 것을 주장했다.
▣ 방코와 각국 화폐의 환율은 상대구매력평가(PPP) 수준에 의해 결정되도록 고안됐지만 당시에는 국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PPP 계산이 여의치 않았으며 이것이 케인즈가 주장한 ICU가 받아들여지지 못한 가장 큰 이유가 됐다.
▣ 나라마다 경제 팽창 속도가 차이가 있으므로 각국이 보유할 수 있는 방코의 양도 변화가 필요했다. 그런데 방코 보유량을 각국이 마음대로 늘릴 경우 국제적 불균형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케인즈는 무역수지 적자국의 경우 적자액만큼의 방코 초과인출(OVERDRAFT)를 계상할 수 있게 하되 각국의 초과인출 상한액은 무역 규모에 비례해 설정하도록 고안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어떤 나라도 무역수지 적자를 계속 낼 수 없으며 (즉, 수입을 계속 늘릴 수 없으며) 어떤 시점이 되면 국내 수요를 국내 생산으로 충당해야 하는 것이다.
▣ 1940년대 당시에 이미 케인즈는 무역수지 불균형의 심각성을 잘 알고 있었다. 무역수지 적자국 입장에서는 디플레이션이 발생해 시장에서 불균형이 조정되기를 기다리는 것보다는 큰 폭의 환율 절하를 통해 수출을 증대시키는 것을 선호하기 쉽다. 그런데 문제는 흑자국의 경우 자국 통화의 절상을 받아들이기 쉽지 않다는 점이다.
▣ 이를 감안해 케인즈는 ICU가 흑자국에는 통화 절상을, 적자국에는 통화 절하를 강제로 시행토록 하는 권한을 가질 것을 주장했다. 예를 들어 연간 무역수지 흑자액이 사전 설정된 방코 초과인출 상한액의 50%에 달하면 그 나라 화폐는 인위적인 절상을 실시하는 동시에 흑자액의 10%에 상당하는 벌금을 내도록 되어 있었다.
▣ 반대로 적자국의 경우 적자액이 초과인출한도 50%에 달하면 자국 화폐를 절하해야 하며 초과인출액에 비례해 일정액의 이자를 ICU에 지불해야 한다. 이런 각종 규정은 강제성을 띄며 규정을 어긴 나라는 ICU에서 퇴출돼 결국 국제무역에 큰 제약을 받게 된다.
(위에 언급한 책 소개 글은 여기를 클릭하면 볼 수 있다 ▶ (책소개) 공급과잉의 시대: 금융위기 근본 원인 처방 없이 진정한 위기 극복은 비관적)
(맨 아래 그림은 이 책에서 ICU 및 방코 제도를 설명하는 부분이다. 각 그림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다.)
= = = =
= = =
▶블로그 검색◀
▶최근 30일간 인기 글◀
-
현재 모든 경제 논의를 주도하는 인공지능(AI)을 위시한 최근의 기술 혁신이 가져올 긍정적인 효과에 관심이 쏠린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 혁신이 확산하면서 전 세계가 과거에 보지 못한 대대적인 공급과잉을 맞을 것이며 수요가 빨리 창출되지 못하는 가운데...
-
인공지능(AI) 기술의 폭발적 발전과 생성형 AI 등장으로 인해 방대한 연산 자원이 필요해지며, 전 세계적으로 AI 데이터센터 확보 경쟁이 국가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도 IT 데이터센터라는 시설은 있었으나, AI용 데이터센터는 "대규...
-
미국 백악관 디지털자산실무그룹(데이비드 삭스 의장 포함 13인으로 구성)은 지난 7월30일 향후 추진 방향 및 구체적 권고사항을 다룬 ‘디지털 금융기술 분야의 미국 리더십 강화(Strengthening American Leadership in Digi...
-
파이낸셜타임스의 오피니언 페이지에 8월24일 게재된 "Beware populist economics"라는 글의 내용을 요약해 소개한다. 포퓰리즘은 보통 대중연합주의라고 번역되기도 하는데 그 정의는 듣기로는 그럴듯하지만 얼른 이해되지 ...
-
통계는 어떤 현상이나 상황에 관한 진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어떤 현상이나 상황에 관한 논의를 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만큼 정확하고 모두가 수긍할 수 있는 통계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다른 많은 분야와 마찬가지로 경제 통계도 정확성은 ...
-
"소득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 내 소득은 빨리 늘지 않는데 부자들 소득은 놀랄 만한 속도로 늘고 있다. 세상이 잘못 돌아가고 있다. 국민소득 늘면 뭐하나, 가계소득은 쪼그라들고 있는데." 이런 말을 자주 듣고 기사도 많이 쏟아지고 있...
-
한국 경제를 언급할 때 많은 사람들이 "소규모 개방 경제(small open economy)"라는 표현을 마치 멋진 용어인 것처럼 사용한다. 이 표현은 경제의 개방도는 높은 반면 경제 규모는 국제 시장에서 주도권을 행사할 정도가 되지...
-
(※ 제목 그대로 생각 나는 대로 간단히 쓴 글이며 모두 사견임) 많은 한국 직장인들과 이야기를 하다 보면 자주 듣게 되는 단어는 야근과 회식이다. 회식도 자발적으로 조직된 경우를 제외하면 직장인 입장에서는 업무의 연속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결국...
-
흉악범죄가 발생할 때마다 언론 보도가 집중되고, 국민 사이에서는 여러 논의가 이루어진다. 그 중 하나가 과연 흉악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들에 대한 형벌이 너무 가벼운 것이 아닌가 하는 부분이다. 한국에서 사형 집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서 과연 사형 제도...
-
(※ 이베스트투자증권에서 발간한 『새로운 연준 의장 등장 가능성과 향후 통화정책 전망』이라는 보고서를 발간했다. 내용이 방대하며 향후 통화정책 전망 부분도 관심사이지만 언론에서 많이 다루어지고 있어, 여기서는 연방준비제도에 대한 소개 자료를 공유한다....
태그
국제
경제일반
경제정책
경제지표
금융시장
기타
한국경제
*논평
보고서
산업
중국경제
KoreaViews
fb
*스크랩
부동산
책소개
트럼포노믹스
일본경제
뉴스레터
tech
미국경제
AI
통화정책
공유
무역분쟁
국제금융센터
아베노믹스
인공지능
가계부채
가상화폐
한국은행
블록체인
환율
원자재
외교
암호화페
중국
미국
북한
반도체
외환
인구
한은
생성형AI
자본시장연구원
증시
논평
에너지
정치
하이투자증권
금리
코로나
연준
산업연구원
주가
트럼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출
중동
일본
한국금융연구원
채권
한국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일본은행
BOJ
국회입법조사처
미중관계
자동차
칼럼
AI반도체
ICO
KIET
인플레이션
BIS
IBK투자증권
IITP
KIEP
NIA
로봇
삼성증권
세계경제
신한투자증권
에너지경제연구원
우크라이나
전기차
지정학
TheKoreaHerald
로봇산업
무역
분쟁
브렉시트
스테이블코인
현대경제연구원
CRE
IT
KB경영연구소
KB증권
NBER
OECD
공급망
관세전쟁
대신증권
미국대선
배터리
상업용부동산
수소산업
신용등급
원유
원자력
유럽
유진투자증권
자본시장
저출산
전쟁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중앙은행
ECB
EU
FT
IBK기업은행
IEA
KDB미래전략연구소
LG경영연구원
PF
PIIE
iM증권
경제학
고용
관광
광물
국제금융
규제
금
금융
기후변화
달러
보험연구원
비트코인
생산성
선거
신흥국
씨티그룹
아르헨티나
에이전트AI
엔
연금
외환시장
유럽경제
유안타증권
유춘식
이차전지
자연이자율
키움증권
타이완
터키
통계
패권경쟁
피치
한국무역협회
혁신
환경
휴머노이드
AGI
BOK
Bernanke
Bruegel
CBDC
CEPR
CES2025
DRAM
DeepSeek
ESG
HBM
IPEF
IRA
ITIF
KDI
KISTEP
KOTRA
MBC라디오
NARS
NIPA
NIST
NYSBA
ODA
RSU
SMR
SNS
SPRi
WEF
Z세대
stablecoin
가상자산
거시경제
경제안보외교센터
경제특구
골드만삭스
공급위기
과학기술
관세
광주형일자리
교역
구조조정
국민연금
국제무역통상연구원
국제유가
국제질서
국회미래연구원
국회예산정책처
기준금리
나라경제
넷제로
논문
대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데이터센터
독일
동북아금융허브
디지털자산
디지털트윈
디플레이션
러시아
로슈
로이터통신
말레이시아
매킨지
머스크
멕시코
물류
물적분할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방위산업
버냉키
법조
보스톤연은
복수상장
부실기업
브뤼겔연구소
블룸버그
사법부
사회
산업용로봇
삼프로TV
석유화학
세계경제포럼
세종연구소
소고
소비
소통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수출입
스티글리츠
스페이스X
신한금융투자증권
싱가포르
아이엠증권
아프리카
액티브시니어
양도제한조건부주식
양자기술
양자정보과학기술
양자컴퓨터
양자컴퓨팅
에그플레이션
에이전트형AI
엣지컴퓨팅
예금보험공사
오피니언
외국인투자
원전
위안
유럽연합
유로
은행
의회정보실
이란
이스라엘
이승만
인도
인도네시아
인재
자산관리서비스
자산운용업
자율주행
잘파세대
재정건전성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주간프리뷰
중립금리
참고자료
철강
코리아디스카운트
코스피
테슬라
통화스왑
통화신용정책보고서
파이낸셜타임스
팬데믹
포퓰리스트
포퓰리즘
프랑스
플라자합의
피지컬AI
하나금융연구소
하나증권
하마스
한국공학한림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수출입은행
한국조세재정연구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한국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해리스
해외경제연구소
홍콩
횡재세